엑소좀
Exosome
- 세포는 상호간 정보 교환을 위하여 엑소좀을 분비합니다.
- 세포 내 생성된 MVB(Multi-vesicular body)내에 있는 엑소좀은 MVB와 세포막이 융합되면서 분비되어 수용 세포로 전달됩니다.
- 엑소좀은 약 30~150 nm 크기의 지질이중막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.
- 엑소좀은 성장인자, 사이토카인 같은 각종 단백질, 핵산, 지질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
최근 Exosome 연구동향
Exosome research trends in the last 20 years
Year
출처 : PubMed, (2001~2021)
- 엑소좀은 분비하는 세포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이기 때문에 최근 연구가 매우 활발합니다.
- 엑소좀 관련 논문은 최근 10년간 평균 30.4% 증가하였습니다.
엑소좀 주요 연구

-
1983
엑소좀 존재 확인
-
1996
엑소좀 기능 연구
면역조절 역할 등 -
1998 ~ 2001
DC와 암세포 유래
엑소좀 연구 등 -
2006 ~ 2007
세포 간 신호전달 및
RNA, miRNA 존재 확인 -
2013
엑소좀 특성분석 등
(CD9, CD63,CD81) -
2010 ~ 2020
진단, 약물전달체
연구 등 연구 증가
다양한 Exosome의 필요성과 한계점

조직, 세포에 따라 엑소좀의 특성이 달라, 연구목적에 맞는 엑소좀이 필요하다.
-
Exosome 확보의 어려움
-
시간과 비용의 부담
-
엑소좀 분석 장비 필요